
주식 거래를 하기 위해 주문 화면을 들어가보면 어떤 주식은 가격이 10원 단위로 증감하고, 또 어떤 주식은 500원 단위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에요. 이는 주식의 단가에 따라 '호가' 단위가 달라지기 때문인데요. 그렇다면 주식의 호가 단위는 어떤 기준으로 달라지게 되는 지 알아보겠습니다.
기준가(단가) | 코스피 상장주 호가 단위 | 코스닥 상장주 호가 단위 |
1,000원 미만 | 1원 | 1원 |
1,000원 이상 ~ 5,000원 미만 | 5원 | 5원 |
5,000원 이상 ~ 10,000원 미만 | 10원 | 10원 |
10,000원 이상 ~ 50,000원 미만 | 50원 | 50원 |
50,000원 이상 ~ 100,000원 미만 | 100원 | 100원 |
100,000원 이상 ~ 500,000원 미만 | 500원 | |
500,000원 이상 | 1,000원 |
기본적으로 주식의 단가에 따라 호가 단위가 달라지고, 코스피 상장인 지 코스닥 상장인 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. 호가 단위를 안다면 주식 매매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단타 위주로 매매를 하는 경우 호가 별 기준가 초반 금액대에서 매수를 한다면 상승과 하락에 따른 변동 %가 클 것이고 기준가의 후반 금액대에서 매수를 한다면 변동 %가 작겠죠. 상승 중인 주식을 매수하고 빠르게 매도하여 수익을 내고자 한다면 변동 %가 큰 기준가의 초반 금액대에 해당하는 주식을 눈여겨보는 것이 좋겠죠. 또는 호가 단위가 바뀌게 되는 직전 구간 (예를 들어 4950~4995원) 에서 매수를 하여 호가 단위가 바뀌면서 상승하게 되는 이득을 취해볼 수도 있습니다.
물론 모든 매매는 빠른 판단과 빠른 손이 필요합니다. 여기에 호가 단위까지 꿰고 있다면 더욱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.

주식 거래를 하기 위해 주문 화면을 들어가보면 어떤 주식은 가격이 10원 단위로 증감하고, 또 어떤 주식은 500원 단위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에요. 이는 주식의 단가에 따라 '호가' 단위가 달라지기 때문인데요. 그렇다면 주식의 호가 단위는 어떤 기준으로 달라지게 되는 지 알아보겠습니다.
기준가(단가) | 코스피 상장주 호가 단위 | 코스닥 상장주 호가 단위 |
1,000원 미만 | 1원 | 1원 |
1,000원 이상 ~ 5,000원 미만 | 5원 | 5원 |
5,000원 이상 ~ 10,000원 미만 | 10원 | 10원 |
10,000원 이상 ~ 50,000원 미만 | 50원 | 50원 |
50,000원 이상 ~ 100,000원 미만 | 100원 | 100원 |
100,000원 이상 ~ 500,000원 미만 | 500원 | |
500,000원 이상 | 1,000원 |
기본적으로 주식의 단가에 따라 호가 단위가 달라지고, 코스피 상장인 지 코스닥 상장인 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. 호가 단위를 안다면 주식 매매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단타 위주로 매매를 하는 경우 호가 별 기준가 초반 금액대에서 매수를 한다면 상승과 하락에 따른 변동 %가 클 것이고 기준가의 후반 금액대에서 매수를 한다면 변동 %가 작겠죠. 상승 중인 주식을 매수하고 빠르게 매도하여 수익을 내고자 한다면 변동 %가 큰 기준가의 초반 금액대에 해당하는 주식을 눈여겨보는 것이 좋겠죠. 또는 호가 단위가 바뀌게 되는 직전 구간 (예를 들어 4950~4995원) 에서 매수를 하여 호가 단위가 바뀌면서 상승하게 되는 이득을 취해볼 수도 있습니다.
물론 모든 매매는 빠른 판단과 빠른 손이 필요합니다. 여기에 호가 단위까지 꿰고 있다면 더욱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.